
"리더가 발휘하는 영향력의 핵심은 진정성이다.
감동을 주려면 자신부터 감동해야 한다.
설득하려면 자신부터 믿어야 한다."
— 윈스턴 처칠
『좋은 리더를 넘어 위대한 리더로』 3장에서는 리더십의 기능과 7가지 유형을 소개하며, 사람마다 자신에게 맞는 리더십 유형을 찾아 의식적으로 성장시켜야 한다고 강조한다.
평소 리더십이 갖춰야 할 역량을 한눈에 정리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있었는데, 『좋은 리더를 넘어 위대한 리더로』 3장은 그 핵심을 한 챕터에 명확하게 압축해 보여주었다. 오래오래 기억하고 싶어서 여러 번 곱씹으며 읽었고, 내가 더 성장시키고 싶은 리더십 역량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었다.

리더십의 기능과 7가지 공통 유형
리더십의 기능
리더십의 기능은 리더의 스타일이나 성향과 관계없이, 모든 리더가 공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핵심 역할을 의미한다. 3장에서는 리더십의 기능을 모두가 공감할 명확한 비전을 촉진하고과 이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 적극적이고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리더십의 7가지 공통 유형
리더십은 7 가지 기능을 모두 갖추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사람마다 강점과 보완해야 할 부분은 다르다. 자신에게 자연스럽게 발휘되는 리더십과, 의식적으로 길러야 할 리더십을 구분하여 성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1. 진정성 – 진심
리더는 자신의 가치관, 신념, 바람을 조직 구성원에게 강력하게 전달해야 한다. 그리고 말로만 그치지 않고, 일관된 행동으로 실천함으로써 신뢰를 쌓아야 한다.
2. 단호함 – 의사결정
리더는 객관적 분석과 직관을 조화롭게 활용해 상황에 맞는 결정을 내려야 한다. 결정은 행동으로 이어져야 하며, 필요에 따라 권한을 위임하거나 집단 토론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 핵심 이슈를 꿰뚫는 질문을 던지는 것도 중요한 역량이다.
3. 집중력 – 우선순위 결정
리더는 핵심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중요한 일에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해야 한다. 업무가 아닌 시간을 관리하는 접근이 필요하며,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추구하는 데 직접 참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덜 중요한 일은 위임하되, 전략적으로 중요한 사안에는 스스로 깊이 관여해야 한다.
4. 대인관계 역량 – 소통과 방향성 제시
리더는 이해관계자와 직접 만나 소통하고, 벽 없는 신뢰 관계를 구축해야 한다. 열린 소통과 작은 행동을 통해 조직과 연결되고, 상징적 행동으로 방향성과 가치를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
5. 인사관리의 양면성 – 성과와 성장 지원
리더는 높은 성과 기준을 제시하고, 긍정적 피드백과 격려를 통해 구성원이 스스로 역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 실수에는 비판보다 협력적 지원으로 과정을 점검하고 성장의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6. 의사소통 – 메시지 전달 역량
리더는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있는 그대로 자주 소통해야 한다. 비유와 이미지로 생생하게 전달하고, 공식적 소통에 개인적 따뜻함을 더해 친밀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숨김 없이 정직하게 말하며, 질문과 대화를 통해 다른 사람의 소통을 자연스럽게 이끌어내야 한다.
7. 진취성 – 끊임없는 전진
리더는 효율적으로 일하면서도 매일 성장하려 노력하고, 활력과 긍정 에너지를 유지해야 한다. 지금 하는 일에 애정을 갖고 조직의 미래를 믿으며, 고치고 실천하며 끊임없이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구성원에게 높은 기대와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스스로 가능성을 믿게 해야 한다. 진취성은 리더 자신과 조직을 움직이는 힘이다.
더 성장시키고 싶은 리더십 유형
내가 먼저 성장시키고 싶은 느낀 리더십 유형은 집중력, 대인관계 역량, 인사관리의 양면성이다.

1. 집중력 - 우선순위 결정
사내 리더십 교육에서 "리더는 드라이버로서 이정표를 수립해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이 있다.
- 팀원보다 단 한 발짝만 더 먼저 생각하고,
- '내가 직접 하는 것'에서 '남을 통해 해내는 것'으로 일하는 방식을 전환하는 것.
- 특히 남을 통해 일할 때는 T자형 관리 — 넓게 보되, 일부 중요한 부분은 깊게 관여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집중력(우선순위 결정) 카테고리에서는 두 가지 Action Item을 정했다.
- Daily Planning을 진행할 때, 오늘 깊게 관여할 과제 하나를 선정하기
- Time Block 관리하기: 지금까지는 주로 Task 위주로 일정을 관리해왔지만, 앞으로는 시간 블록을 관리하는 방식을 고민해보려 한다. 해야 할 과제를 정리하는 시간, 계획하는 시간, 점검하는 시간 등 다양한 Time Block을 만들어 운용하는 방법을 찾아갈 예정이다.
핵심은, 중요한 일에 몰입할 수 있도록 시간과 에너지를 선제적으로 설계하는 것이다.
2. 대인관계 역량 - 소통과 방향성 제시
컬리에서 일하면서, 끌리는 리더분들의 공통점을 떠올려보았다. 업무 역량도 뛰어나지만, 무엇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느낌을 주는 분들이었다. 아마도 의도적으로 벽을 만들지 않고,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려 노력하고 계시겠지.
나 역시 가장 먼저, 벽 없는 신뢰 관계를 만들기 위해 심리적으로 더 쉬운 사람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 목표를 위해 다음과 같은 Action Item을 정했다.
- 상대방과 대화할 때, 나의 관심사보다 상대방의 관심사를 먼저 파악하고, 상대방의 관심사 위주로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 (+ 관심사를 잘 기억하기)
사람들은 "나에게 관심을 가져주는 사람"에게 자연스럽게 마음의 장벽을 낮추고, 더 빠르게 신뢰를 느낄거라 생각한다.
3. 인사관리의 양면성 - 성과와 성장 지향
좋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높은 기대 수준을 제시하고 적절한 코칭과 함께, 그 사람이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돌아보면, 나는 이 "믿음을 심어주는 일"을 충분히 잘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Action Item을 정했다.
- 평소 커뮤니케이션할 때,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잘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고, 스스로 중요한 존재임을 느끼게 하는 말과 행동을 실천하기.
'배움 조각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 리더를 넘어 위대한 리더로] 리더도 성장해야한다. (0) | 2025.04.06 |
---|---|
[좋은 리더를 넘어 위대한 리더로] 결국 사람이다. (0) | 2025.03.25 |
[좋은 리더를 넘어 위대한 리더로] '관계'와 '가치관'의 중요성 (0) | 2025.03.09 |
주니어 개발자 성장을 위한 조언: 성장은 현재를 '잘' 하려는 노력에서 시작된다 (4) | 2024.11.22 |
[책] 테크니컬 리더 - 훌륭한 테크니컬 리더의 특징 (3) | 2024.11.21 |